aftereffects 3d (어도비 애프터이펙트 3d) Orientation과 rotation 차이, local axis mode와 world axis mode
오늘은 어도비 애프터이펙트에서 Orientation과 rotation 차이, local axis mode와 world axis mode (로컬축과 월드축)의 차이를 중심으로 포스팅했다.
먼저, 3D 아이콘을 누르면 x, y 그리고 z 방향으로 물체를 움직일 수 있다.
에펙에서 입체를 표현할 때, 모션그래픽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1. 3D 기본
1) 방법
직접 해보면 쉬움. 도형 레이어 하나 만들고 (레이어 패널에서 마우스우클릭 > shape layer)
3d 아이콘 (정육면체) 클릭 시 물체를 3d 공간에 존재하는 것처럼 움직일 수 있다.
2) 움직임
기본적으로 x축은 위 아래, y축은 양옆으로 회전하며, z 축은 공간앞뒤로 움직인다.
x축
x rotation을 양수값으로 조절하면 아래로 회전
y축
y rotation을 양수값으로 조절하면 우측 시계방향 으로 회전
z축
z 방향은 깊이감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z rotation은 중심점 기준으로 (2d로 보기에) 그냥 한바퀴 회전하는 것처럼 보임
2. 용어
1) Orientation과 rotation 차이
orientation은 해당 축의 회전 방향으로 움직이고, rotation은 해당 축 기준으로 움직인다.
orientation
x, z축이 조절된 상태에서 y축 값만 움직여보면, y 축의 회전방향으로 그려진 곳을 따라가며 도형이 한바퀴 돈다.
rotation
x, z축이 조절된 상태에서 y축 값만 움직여보면, y 축의 회전방향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꼿꼿이 서있는 y축 자체를 중심으로 그 y축을 기준으로 도형이 움직인다.
2) axis mode 축 모드 차이
3D로 움직일 레이어를 선택한 후 삼각형 선택도구 V 를 누르면 axis mode (축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다.
로컬축 local axis mode
월드축 world axis mode
x축과 y 축이 수직을 이루는 상태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것.